지난 재무제표 보는 법 1편에서 언급한 PBR, PER 두 가지 개념을 간략하게 요약하겠습니다. PBR P/B라고도 씁니다. Price-To-Book Ratio의 약자입니다. '주가장부가치비율'라고 하는데 한국말이 더 이해하기 어려워요. Price(주가) / Book(주당 장부가치) 라고 이해하면 됩니다. 장부가치라는 것은 기업의 모든 자산에서 모든 부채를 제외한 후 남은 금액을 말합니다. 그 금액을 발행한 주식의 수로 나누면 주당 장부가치가 됩니다. 현재 주가를 한 주당 장부가치로 나누어 주면 그것이 바로 P/B가 됩니다. 즉, PBR이 1보다 크다면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높아서 고평가 되었다고 하며, PBR이 1보다 작다면 주가가 장부가치보다 낮아서 저평가되었다고 합니다. PER 현재의 주가를..
주식할 때 재무제표를 잘 보고 기업가치를 산정해서 투자해야 한다는 말은 많이 듣습니다. 그런데 사람들은 재무제표를 공부하지는 않습니다. 다른 사람이 분석한 내용을 따라가면 된다고 쉽게 생각합니다. 다른 사람이 판단한 것에 나의 돈을 투자한다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. 지금부터라도 나의 투자는 나의 판단으로 한다는 생각으로 공부를 해야 합니다. 공부하지 않고 성공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는 생각을 버려야 합니다. 재무제표 어렵다? 재무제표를 읽는 법은 어렵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용어도 어렵고 숫자가 큰 것이 좋은 것인지 작은 것이 좋은 것인지 잘 모를 때도 많습니다. 복잡하게 DART 접속해서 다운로드한 재무제표를 어렵게 보지 않아도 됩니다. 하지만 우리에겐 네이버증권이 있습니다. 네이버증권으로 재무제..